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30주기…
    우리는 아직도 같은 질문을 하고 있다

     

     

    📍 왜 ‘생명안전기본법’은 아직 제정되지 않았을까?

    1995년 6월 29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삼풍백화점이 순식간에 무너졌습니다.
    당시 이 사고로 502명이 사망하고, 937명이 부상, 실종자만 6명에 달했습니다.
    대한민국 역사상 최악의 인재 중 하나로 기록된 이 참사는, 무려 30년이 지난 지금도 많은 이들의 마음에 깊은 상처로 남아있습니다.

     

    하지만 더 충격적인 사실은, 그 이후로도 비슷한 참사가 반복되었다는 점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는 ‘생명안전기본법’이라는 최소한의 안전장치조차 마련하지 못했습니다.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참사 30주기삼풍백화점 붕괴사고 참사 30주기삼풍백화점 붕괴사고 참사 30주기
    출처_뉴스1

    🧭 생명안전기본법이란?

     

     

    ‘생명안전기본법’은 산업재해, 재난사고 등으로 소중한 가족을 잃은 피해자 유족들이 제안한 법안입니다.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가가 생명과 안전에 대해 명시적으로 책임지는 법적 틀
    • 재난 피해자와 유가족을 위한 제도적 보호와 지원 체계 마련
    • 생명안전 교육, 피해자 치유, 공공조사, 추모 사업의 정례화
    • 대형 참사의 예방과 투명한 사후 보고 시스템 구축

    이 법은 단순히 과거를 기억하기 위한 법이 아니라, 앞으로의 참사를 막기 위한 구조적 안전망입니다.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참사 30주기삼풍백화점 붕괴사고 참사 30주기삼풍백화점 붕괴사고 참사 30주기
    출처_뉴스1

    🏛️ 왜 10년 넘게 국회에서 방치됐는가?

    생명안전기본법은 2015년 세월호 유가족들의 제안으로 처음 발의됐습니다.
    그 이후로 6차례에 걸쳐 국회에 제출됐지만, 단 한 번도 본회의를 통과하지 못했습니다.

    이유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관련법 중복, 예산 문제, 정치적 민감성 등의 이유로 논의 자체가 지연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그 사이에도 우리는 끊임없이 참사를 겪어야 했습니다:

    • 2014년 세월호 참사
    • 2022년 이태원 압사 사고
    • 2023년 평택 냉동창고 화재
    • 2024년 서울 지하철 공사장 사고

    그리고 지금, 2025년, 우리는 여전히 묻습니다.
    “왜 이 법은 아직도 제정되지 않았는가?”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참사 30주기삼풍백화점 붕괴사고 참사 30주기삼풍백화점 붕괴사고 참사 30주기
    출처_뉴스1

    📣 유가족들의 외침, 그리고 우리의 책임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30주기를 맞아 유족들은 다시 한번 기자회견을 열고 이렇게 외칩니다:

    “기억만으론 아무것도 바뀌지 않습니다. 법이 있어야 합니다.”

    생명안전기본법은 단지 한 가족의 슬픔을 위로하기 위한 법이 아닙니다.
    우리 모두가 내일 겪을 수도 있는 사고를 막기 위한 법입니다.
    정치가 아닌 상식의 문제이며, 생명을 위한 최소한의 사회적 장치입니다.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참사 30주기삼풍백화점 붕괴사고 참사 30주기삼풍백화점 붕괴사고 참사 30주기
    출처_뉴스1

    ✅ 마무리하며

    삼풍백화점 사고 30주기,
    우리는 단순히 “추모”하는 것을 넘어 “변화”를 만들어야 할 때입니다.

    생명안전기본법이 제정되어야만,
    우리는 더 이상 참사 앞에서 무력한 국민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기억을 넘어 행동으로,
    🗣️ 관심을 넘어서 목소리로,
    이제는 우리가 바꿔야 할 시간입니다.

    반응형